■ 진행 : 최영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관옥 계명대 교수, 장예찬 시사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최대의 쟁점인 부동산 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. 부동산 시장 불안 문제를 둘러싸고 야당의 집중포화가 쏟아졌는데요. 발언 듣고 오겠습니다. 부동산 가격 인상률을 묻는 서병수 의원의 질문에 김현미 장관, 한국감정원 통계로 11% 정도 오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을 했습니다.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김관옥] <br />지금 김현미 장관이 내세운 건 감정원 자료고요. 서병수 의원은 KB국민은행 자료고요. 또 경실련에서도 비슷하게 나왔어요. 그런데 경실련 자료가 KB국민은행 자료랑 유사합니다. 그래서 사실상 상당히 올랐다. 지금 11%라고 얘기하면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것과는 많이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늘 다른 것보다도 김현미 장관이 사과를 했어요. 그래서 상당히 시장에 혼란을 주고 그 부분에 대해서 죄송하다 이렇게 말씀을 한 것은 저는 지극히 잘했다라고 생각을 하고요. 문제는 서병수 의원이 어떻게 얘기하느냐면 이것이 좌파정권이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것처럼, 그걸 이념과 부동산 가격을 연동시키는 그런 발언 매우 부적절하다고 생각을 해요. <br /> <br />우리가 이명박 정부 때 13% 정도가 내려갑니다. 그 이유는 서프라임모기지 사건 때문이에요, 2008년에 발생한. 그리고 2003년에 노무현 정부 때 많이 올랐죠. 그것은 세계적인 어떤 호황의 시기입니다. 이게 IMF가 끝나고 그때 많이 내려갔던 것이 또 탄력을 받아서 굉장히 올라갔던 것이고. 그리고 박근혜 정부 때 한 20%가 올라가요. <br /> <br />그렇지만 그 정도로는 우리가 아주 많이 올라갔다고 느끼지 않는 거죠. 그런데 문재인 정부 들어서 그것보다 더 올라가는 것인데 저는 그 장면도 우리가 지금 많이 올랐으니까 지금 이것에 대한 어떤 우려가 굉장히 있지만 코로나19가 이게 장기화가 되고 지금의 우리도 -3.3%, 2분기에 나왔다는 것 아니에요. <br /> <br />이렇게 경기침체가 이루어지면 우리 IMF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 때나 마찬가지로 가격이 다운이 될 수가 있습니다. 이렇게 사이클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을 전적으로 무슨 이념의 잣대를 대서 좌파 정부가 당연히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것처럼 이렇게 얘기하는 것은 일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72323061239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